전체 글102 Spring Boot Test Code 동작순서 정렬 - @TestMethodOrder 최근 실무에서도 테스트코드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단위 테스트나 TDD 형식의 주도개발을 통해서 프로젝트를 구축하는 추세로 알고 있다.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으로 테스트코드를 통해서 얻을수 있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각각의 기능 테스트를 통한 검증. 2. 각 기능 테스트 검증에 의한 전체 프로젝트 구축시 기능동작에 대한 확신 정리해서 말하자면 테스트코드는 프로젝트가 구축되어 갈수록 해당 기능들이 전체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해야 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검증을 위한 행위이고 버그를 고치기 위한 원인을 파악하는 데 좀 더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물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나가면서 개발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로 하지만 그만큼 테스트 코드가 있는 프로젝트가 좀 더 신경쓴.. 2021. 6. 25. AWS S3) S3를 이용한 파일 불러오기 개인 프로젝트를 구축해나가면서 프로젝트의 성격에 맞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서 S3를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업로드 하는 기능같은 경우 관리자의 권한으로 우선 구현하지 않은 상태 이므로 추후에 구현 시 포스팅하는 식으로 진행하며, S3 및 IAM 과 관련된 초기설정에 대한 내용은 생략합니다. 1. AWS 의존성 설정. // build.gradle compile group: 'org.springframework.cloud', name: 'spring-cloud-starter-aws', version: '2.2.1.RELEASE' 2. application.properties 설정 # s3 - 2 cloud.aws.s3.bucket=S3 버켓 명칭 clou.. 2021. 6. 23. CentOS - Jenkins 설치 과정 Travis CI 로 빌드 테스트를 실패 한 이후 정확한 원인을 알수 없어서 제대로 진행하지 못하였고 이번엔 그와 다른 Jenkins를 써서 해보기 위해서 설치과정을 포스팅해보렵니다.. Docker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아마 Mac 일 경우에는 ssh를 활용해서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윈도우기 떄문에 putty를 이용해서 진행합니다. 1. 우선 EC2에 jenkins를 설치해 줍니다. sudo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pkg.jenkins-ci.org/redhat/jenkins.repo 2. 이후 jenkins의 public key를 import 해온뒤 jenkins를 설치해줍니다. sudo rpm --import https://jenki.. 2021. 6. 17. travis Ci 테스트 중 에러.. Caused by: java.net.SocketTimeoutException + Permission Denied 우선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면 어느부분이 원인인지 잡아내질 못했다.. 입니다 travis 를 사용하기 위해서 가입 후 깃 레포지토리를 연동하였습니다. 이후 해당 프로젝트의 최상단에 travis.yml 파일을 생성하였습니다. language: java jdk: - openjdk8 branches: // 어느 브랜치가 푸시될 때 수행할지 결정 only: // 현재는 오직 master가 푸시될떄만 - master # Travis CI 서버의 Home cache: // 그레들을 통해 의존성을 받으면 디렉토리가 캐싱하여 같은 의존성은 다음배포시 // 받지않게 설정 directories: - '$HOME/.m2/repository' - '$HOME/.gradle' script: "./gradlew clean buil.. 2021. 6. 13. EC2) 서버 도메인 OAuth2.0에 등록 마지막으로 소셜로그인 서비스에 EC2 도메인을 등록하는 작업이 남았었습니다. 짧게 나마 등록하는 과정만 올리겠습니다. 먼저 구글콘솔 홈페이지에 들어가 해당 프로젝트의 좌측상단의 리스트를 누르고 API 및 서비스 -> OAuth 동의화면 으로 들어갑니다. 그 후 앱을 수정합니다. 승인된 도메인에 도메인을 추가하는데 여기에 서버 도메인을 추가하면되겠습니다. http는 붙이지않습니다. 그 다음 사용자 인증정보에서 클라이언트 ID를 클릭합니다. 승인된 리디렉션 URI에 서버 도메인을 추가하고 로컬로 사용한 URI를 같이 붙여서 추가시켜줍니다. http://서버도메인:8080/login/oauth2/code/google 이제 저는 서버단에서 결제 API가 성공적으로 진행되었기 떄문에 필히 진행되어야 하는 기능들은.. 2021. 6. 11. EC2) org.thymeleaf.exceptions.TemplateInputException: Error resolving template [/fragment/fragment] 드디어 성공적으로 EC2 서버에 배포를 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템플릿관련 에러가 나타났습니다.. 실제 EC2 서버에서 나타난 에러로그를 따진 못했지만 우선 서버에서 배포했을때는 경로에 대해서 또 다른 설정을 해줘야하는지 고민이 생겼습니다. 왜냐하면 이전에 스프링 레거시 프로젝트를 배포할 때는 WAR파일이 였기 때문에 톰캣에서 따로 서버의 경로를 설정해줘야했기떄문입니다.. 그러다가 index.html에서 코드를 확인해본 결과 조금 다른 부분에서 에러가 난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에러코드를 조금 줄여서 적어보면 index.html - line 6 - 11 해당 코드의 라인을 따라 들어가보면 특이하게 Thymeleaf 문법에 대한 에러인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즉 th 문법을 사용할수 없는 것처럼 에러가 나타난.. 2021. 6. 1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7 다음